컨텐츠 바로가기

기증 절차 안내

기증 자료(사진, 재봉틀)가 전시된 모습

단 한 건의 자료라도 역사를 진술하는

소중한가치가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 자료를 기증받습니다”

· 오월과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담고 있는 사료를 찾고 있습니다.
· 우리 기록관은 기증해주신 소중한 뜻을 받들어 이 기록물들이 역사 정리와
  정신계승을 위한 교육, 전시 자료로 소중히 활용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기증절차안내

기증 의사
접  수
  • · 전화 접수 (062-613-8205)
  • - 기록 관리 부서로 연락주시면 담당자가 절차 등의 안내를 도와드립니다.
  • · 이메일 접수 (simin2017@korea.kr)
  • - 이메일로 연락처와 함께 자료 기증을 신청하시면 담당자가 확인 후 직접 연락을 드립니다.
  • · 직접 방문
  • - 기록관으로 직접 방문 하신 후 프론트에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증 협의
및 조사
  • ·전화 상담 또는 기록관 방문 후 기증 자료와 관련된 협의 및 조사
  • - 기증을 원하시는 기록물의 분량, 보존 상태, 적합성 유.무 등의 절차입니다.

기증 자료
수집 안내
  • · 수집 협의 및 수집 일정 안내
  • - 기증을 원하시는 자료에 대한 협의 및 기록관에서 진행되는 수집 일정을 안내합니다.
  • - 기증된 자료가 어떤 목적으로 활용되는지 등의 안내를 합니다.

기증 자료
수집
  • · 기증하고자 하는 자료를 기록관 측에서 수집, 검토하는 과정
  • - 기증 자료는 기록관 측에서 직접 방문하여 수집하거나
  • 기증자께서 기록관으로 방문 또는 우편(택배)를 이용한 기증 방법이 있습니다.

기증 확인
및 전시
  • · 기증 확인서 및 감사장 발송 / 전시
  • - 모든 검토 과정이 끝나면 기증자께 ‘기증 확인서’와 ‘감사장’을 전달합니다.
  • - 또 하나의 소중한 역사를 기증해주신 뜻 깊은 마음을 담아 기록관에 소중히 보관, 전시됩니다.

* 자료 기증은 온라인(홈페이지)으로 접수하지 않습니다.

* 자세한 문의 사항은 담당 부서로 연락주시면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기록 관리사

    5·18민주화운동기록관
    062-613-8205

  • 상담가능시간

    상담 가능 시간
    09:00 ~ 18:00

  • 담당자이메일

    담당자 이메일
    simin2017@korea.kr

“5·18민주화운동 자료를 기증받습니다”

· 오월과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담고 있는 사료를 찾고 있습니다.
· 우리 기록관은 기증해주신 소중한 뜻을 받들어 이 기록물들이 역사 정리와
  정신계승을 위한 교육, 전시 자료로 소중히 활용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재봉틀기증송희성오월민주여성회 회장

| 재봉틀, 기증 송희성 오월민주여성회 회장 |

이 전시물은 성하맨션 부녀회가 5·18민주화운동 당시 사체 수습용 마스크를 제작하는데 직접 사용한 재봉틀로 송희성(1980년 당시 성하맨션 부녀회장, YWCA 이사)님이 보관하다 기록관에 기증하여 2층 전시실, ‘여성관’에 전시되어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성하맨션 부녀회는 광주 시내로 진입하는 유일한 서쪽 길목인 광주광역시 남구(당시 서구 사동 168번지 서동오거리)에 위치하여 지나다니는 시위대와 방송 기자들에게 물과 주먹밥, 간식을 준비하여 제공하는 방법으로 민주화운동에 참여하였다.

1980년 5월 24일에도 성하맨션 부녀회원들은 아침 일찍 주먹밥을 만들어 도청 시민군에게 제공하고, 상무관의 사체 수습하는 일을 돕다 마스크가 필요하여 구하려 했으나 구할 수가 없어 부녀회장이 가지고 있던 거즈(2필)와 재봉틀을 소유한 부녀회원들이 모여 사체 수습용 마스크 100여개를 만들었다.

상무관 사체 수습에 사용하고 남은 마스크를 시민군들이 쓰고 다니게 되는데, 이 것을 신분을 감추려는 복면으로 오해받아 마스크를 전달했던 사람들과 송희성 부녀회장은 구속되어 가혹한 조사와 처벌을 받았으며 아직도 마스크를 착용한 시민군들의 사진이 복면한 북한군으로 왜곡되고 있다.

기증된 재봉틀은 광주 여성들의 5·18민주화운동 현실참여와 대동 정신을 잘 보여주는 기록물이다.

기증자와 기증 자료

기증자와기증자료
기증자 기증일시 기증자료
송희성 2015년 - 손 재봉틀, 마스크, 바늘쌈지 등 19점 / 현품
박문옥 2015년 - '직녀에게' 작곡악보
- '가슴마다 꽃으로 피어 있어라' 악보집
법능스님 2015년 - '출정가' 작곡 악보
- 자료집 141점, 신문 자료 28점, 간행물 2점 등 기타 370점
장영철 2015년 - 5월 그 날이 다시 오면 우리 가슴에 붉은 피 솟네 (1987.04.25)
- 성명서 (1980.10.25) 741점, 민중의 소리 등 도서 간행물 19점
정수만 2015년 - THE UNITED CHURCH OF CHRIST IN JAPAN (1987.02.24)
- Kwangju Riot scaring investors JETRO (1980.06.06) 등 733점
한광옥 2015년 - 제 144회 국회 회의혹 제 7호 (1982.10.07)
장태한 2015년 - Kwangju blood drive in Los Angeles 방송 DVD 2 등 3점
이윤정 2015년 2월 - 등사기 / 현품
김도일 2015년05월10일 - 영화 '화려한 휴가' 영화 제작 포스터, 사진 등
박남규 2015년05월17일 - 진단서 3점, 음급·간호 기록지 등 5점
서명원 2015년05월20일 - 학생지도 실무자가 겪었던 5·18광주항쟁기(육필) 자료 등 10점
김희태 2015년10월 - 5·18 광주 수습대책 기자회견(1980.05.26), 88, 89 노동현장 투쟁 활동
- 김대중 선생 TV연설, 각하 훈시 연설(1981.02.18) 영상자료 등 41점
홍세형 2015년10월 - 1980년 사진 슬라이더 자료 1철 등 2점
이석우 2016년2월18일 - 전교조 공동교재 및 부교재 등 7점
양원석 2016년2월25일 - 경고문(계엄사령관) 등 4점
김태현 2016년2월26일 - 진단서 3, 공문서 5넘 등 9점
박민서 2016년3월8일 - 도청 진압 당시 사망자가 소장하고 있던 피 묻은 영어 책 (What is History / E.H.Carr)
박연철 2016년3월21일 - 일기장(1980.05.16~05.31) 40장
- 시민의 날 전개 과정 정리본(타자본) 36장
박순금 (故백두선 모친) 2016년3월22일 - 교련복 하의, 각반 1쌍
김종률 2016년5월1일 - '님을 위한 행진곡' 작곡 악보
전남대 5·18 연구소 2016년5월9일 - 성명서 '왜 총을 들 수 밖에 없었는가?' 원본
조지카치아피카스 2016년5월18일 - Research Notebook 1권~9권
정재영 2016년5월18일 - 오월 관련 책자 등 5점
최운영 2016년6월1일 - 1980년 당시 '수배자 수첩' 등 7점
장갑수 2016년7월 - 1980년 이후 민주청년운동 등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 성명서 등 909점
남경 대학살 기념관 2016년5월18일 - 기록유산 등재 인증서(복본), 기념관 유관 서적 등 9점, 남경 학살 국가 기념식 행사 사진
이기홍 2016년8월 - 1978~1980년 성명서 176점, 천주교 자료 등 591점
홍광석 2016년8월19일 - 전조교, 1980년 이후 故 박승희 학생 유서 등 민주화운동 관련 자료 1,141점

* 자료 기증은 온라인(홈페이지)으로 접수하지 않습니다.

* 자세한 문의 사항은 담당 부서로 연락주시면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5·18민주화운동기록관
    062-613-8205

  • 상담 가능 시간
    09:00 ~ 18:00

  • 담당자 이메일
    simin2017@korea.kr

맨위로